[72의 법칙]
복리 금리에 대해 원금이 2배가 되는 기간의 산출방법.
72를 복리기준의 금리로 나누어 원금이 2배가 되는데 소요되는 대략적 기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복리로 12% 이자를 받는 투자의 원금이 2배가 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72를 12로 나누어
6년이 걸림을 대력적으로 알 수 있다.
72의 법칙으로 계산을 해보면 1%의 금리가 더욱 소중하게 생각되어 집니다.
수익률에 따른 원금의 2배가 되는 기간
내돈 원금 1,000만원을 2,000만원을 만들기 위해서 세금은 생각하지 않고 4% 수익이 나는 상품에 투자를 한다면
2,000만원이 되기 위해 18년을 기다려야 되지만 8% 수익이 나는 상품에 투자를 한다면
9년을 기다리면 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수익이 더 난다는 것은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이 붙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위험은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거나 없어질것이므로 장기적으로 목돈을 준비해야된다면
안정적으로 수익률을 조금더 가져올수 있는 상품에 투자를 하는 방안을 선택하셔야 될것입니다.
복리 금리에 대해 원금이 2배가 되는 기간의 산출방법.
72를 복리기준의 금리로 나누어 원금이 2배가 되는데 소요되는 대략적 기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복리로 12% 이자를 받는 투자의 원금이 2배가 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72를 12로 나누어
6년이 걸림을 대력적으로 알 수 있다.
72의 법칙으로 계산을 해보면 1%의 금리가 더욱 소중하게 생각되어 집니다.
수익률에 따른 원금의 2배가 되는 기간
3% | 4% | 6% | 8% | 10% | 12% | 14% |
24년 | 18년 | 12년 | 9년 | 7.2년 | 6년 | 5.1년 |
내돈 원금 1,000만원을 2,000만원을 만들기 위해서 세금은 생각하지 않고 4% 수익이 나는 상품에 투자를 한다면
2,000만원이 되기 위해 18년을 기다려야 되지만 8% 수익이 나는 상품에 투자를 한다면
9년을 기다리면 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수익이 더 난다는 것은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이 붙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위험은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거나 없어질것이므로 장기적으로 목돈을 준비해야된다면
안정적으로 수익률을 조금더 가져올수 있는 상품에 투자를 하는 방안을 선택하셔야 될것입니다.
'목돈 마련 저축, 펀드, 투자 > 투자 기본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기본 함께 공부하기] EPS-주당순이익 (10) | 2011.12.06 |
---|---|
[투자 기본 함께 공부하기] PER (Price Earning Ratio) (10) | 2011.11.30 |
[투자상식] The Rule of 72 <72의 법칙> (10) | 2011.11.29 |
[투자 상식] 복리 - 시간의 힘 (16) | 2011.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