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뉴스] 기획 재정부 '2020 세계 경제 5대 관전 포인트'
기획 재정부 '2020 세계 경제 5대 관전 포인트
1. 中, 美추월 최대 경제대국으로
2. 유로존 결국은 재정통합
3. 온실가스 감축 부담 가중
4. 재정건전성 노력 강화
5.인구증가 - 고령화 심화
2020년에는 중국이 세계경제를 이끌고 유럽이 결국 재정통합을 이룰 것이라는 한국 정부의 전망이 나왔다.
5일 기획재정부의 '2020년 세계경제 5대 관전 포인트' 자료에 따르면 8년뒤 세계경제의 특징을
△ 최대 경제대국 중국 △ 유로존 재정통합 △ 새 기후변화체제 출범
△ 선진국의 재정건전화 노력 강구 △ 인구구조 변화 등 5가지로 내다봤다.
재정부는 먼저 국제금융 기관들이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 위안화 평가절상 등 여러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있는
가운데 늦어도 2020년까지는 중국의 경제규모가 미국을 추월할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중국의 정치. 경제적 영향력이 아시아와 태평양 권역을 중심으로 확대되면서
우리나라가 동북아의 지정학적 구심점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큰 만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문화콘텐츠 협력 추진을 서둘러야 된다고 강조했다.
또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유럽은 앞으로 재정통합이 불가피할것으로 예상했다.
재정부는 "유로존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중앙은행 기능 외 재정정책 기능을 동시에 보유하는
재정통합이 불가피하다"며 "유로존이 재정위기 해결에 성공하면 세계경제가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밝혔다.
2020년 이후 선진국과 개도국이 함께 참여하는 단일 기후변화체제가 구축되면 한국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담압력이 훨씬 커질것으로 정부는 우려했다.
2012년 쿄토 의정서가 만료될 예정인 가운데 새로운 체제를 놓고 현재 선진국과 개도국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한국은 최대한 선진국보다 낮은 의무수준을 확보해야 한다는게 재정부의 생각이다.
이 밖에 재정부는 재정위기를 겪은 선진국들이 앞으로 재정건전성을 대폭 강화하고
인구 구조 변화로 후진국 인구폭발 대응이 이슈가 되는 반면 선진국은 고령화 문제가 심화될것으로 전망했다.
작년에는 위기는 기회라는 말을 참 많이 썼습니다. 우리 주변에는 항상 위기라는 놈이 지켜보고 있는것 같다.
그 위기가 치고 들어 올때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전화위복으로 기회를 만들수 있는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제 정책을 기획하고 예산하고 세제등을 총괄담당하는 기획제정부에서 전망하는 내용입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리미리 대처할수있는 방안을 마련해나갈것이므로 중국에 대한 관심과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인구 증가, 변화에 따른 세계 경제의 흐름에 따른 경제변화에 대한 관심과 집중이 필요할것입니다.
장기적으로 인구 구조에 따른 경제 변화가 가장 민감한 사항이 될것입니다.
그에 맞는 투자 방안과 재정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금융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뉴스] 그리스 1300억 유로 수혈 ....디폴트 위기 넘겼다 (9) | 2012.02.11 |
---|---|
[금융뉴스] 죽기 전 1년 동안 쓰는 의료비 1200만원 (11) | 2012.02.07 |
[금융뉴스] 기획재정부 '2020 세계 경제 5대 관전 포인트' (16) | 2012.02.06 |
[보험뉴스] 늦은 출산에.... 저체중아 조산아 비율 매년 증가 (12) | 2012.01.26 |
[금융뉴스] 늦은 노후대비에 즉시연금 인기 (10) | 2012.01.24 |
[금융뉴스] 투자사기 - 고수익 미끼 투자 50억 사기 (2) | 201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