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 이전제도" - 연금저축 금융사간 이전 가능 쉬운방법
연금저축 이전제도
금융감독원의 금융소비자보호처에서는 금융소비자의 합리적인 금융상품 선택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금융소비자 리포트 제1호 [연금저축]』을 발간하여 2회에 걸쳐서 관련내용 안내를 하였습니다. 2~3회에 걸쳐서 추가적인 부분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금융상품과 달리 연금저축은 금융사간의 연금저축 이전 이 가능합니다.
보험사 연금저축 보험을 증권사 연금저축 펀드로 이전을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으셔서 소득공제용 연금저축 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연금저축 이전제도"에 대해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연금저축에 대한 비교를 다시한번 안내해드리면....
*자세한 내용은 『금융소비자 리포트 제1호 [연금저축]』관련 포스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http://leecfp.tistory.com/534
연금저축의 종류
출처 ; 금융감독원 발간 금융소비자 리포트 제1호 [연금저축]
은행의 연금저축신탁, 보험사의 연금저축보험, 자산운용사의 연금저축펀드의 각각의 특징에 대한 안내입니다.
연금저축 종류별 수수료 비교
출처 ; 금융감독원 발간 금융소비자 리포트 제1호 [연금저축]
금융사별 연금저축의 수수료 안내입니다.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사의 경우는 초반 수수료는 높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많이 떨어지는것을 볼수있고
은행 과 자산운용사의 연금저축 신탁, 연금저축 펀드 의 경우는 초반 수수료는 보험사에 비해 낮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높아지는것을 볼수있습니다.
연금저축 종류별 평균 수익률 및 변동성
출처 ; 금융감독원 발간 금융소비자 리포트 제1호 [연금저축]
* 과거 10년간 ('02.07.1.~'12.06.30.) 매월 일정금액 납입을 가정하여 금융회사별 평잔 대비 누적수익률(정기적금수익률)을 계산하고, 동 수익률에
금융회사별 적립금 규모를 반영한 평균(가중평균)으로 금융권역별 평균 수익률을 산출
** 변동성이 크다 는 것은 큰 수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손실발생가능성도 매우 크다 는것을 변동성이 작다 는 것은 손실발생가능성이 낮아 수익실현
가능성이 비교적 안정적임을 의미. 과거 10년간 금융회사별 월간 수익률을 기초로 계산한 표준편차. 변동성은 평균수익률에 플러스(+), 마이너스(-)가
가능성이 높다는것입니다.
위의 3가지 비교를 해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셔서 가입을 하시고 현재 가입하고 계신 금융사의 연금저축이 부적합하다고 생각이 드신다면
연금저축 이전제도 를 활용하셔서 매년 400만원 까지 소득공제 로도 활용하시고 미래에 좀더 안정적인 은퇴생활 을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참 쉬운 연금저축 이전 방법
1. 이전하고자 하는 금융사에 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한다. (준비물 ; 도장, 신분증)
2. 현재 가입중인 금융사를 방문하여 연금저축 이전을 신청한다. (준비물 ; 도장, 신분증)
3. 일주일정도후 이전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계좌 개설에 대한 부분과 이전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해서는 상담신청하시면 자세히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득공제용 연금저축비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 이전제도" - 연금저축 금융사간 이전 가능 쉬운방법 (1) | 2012.11.24 |
---|---|
{2} 금융소비자 리포트 제1호 [연금저축]발간 - 연금저축 가입시 필수체크리스트 (0) | 2012.11.23 |
{1} 금융소비자 리포트 제1호 [연금저축] 발간 - 정리내용 (0) | 2012.11.22 |
9월 필수가입.. 소득공제용 연금저축 최대 400만원 소득공제가능 (14) | 2012.09.11 |
[소득공제용 연금저축]소득공제 많이 받는법 - 연말정산 미리 대비하기 (0) | 2012.09.07 |
소득공제용 연금저축 - 연말정산시 사용할수있는 연금저축 확인하기 (0) | 2012.09.06 |